티스토리 뷰

반응형

집단 감염 바이러스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고 있으며, 한국의 식중독 통계에서도 노로바이러스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고 소중한 건강을 지킵시다.

 

 

1. 노로바이러스 특징

노라바이러스는 비세균성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미국 오하이오주의 노웍에서 1968년 발견된 노웍 바이러스라고 불리다 발음이 어려워 노로바이러스로 불리게 되었고, NV라고도 한다. 폐쇄 집단내에서 집단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혈액형에 따라 감염성에 차이가 있다.

  • 혈액형에 따라 감염에 차이가 있다 : 혈액형 O형이 가장 감염에 취약하고 B형이 가장 저항이 강하다. 노로바이러스는 소장세포에 감염하기 위해 소장 세포 표면에 당단백질을 인식하는데, 이 당단백질은 혈액형을 결정짓는 당단백질 항원과 같은 효소의 작용으로 형성되므로 혈액형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 것이나, 증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 식중독과는 다르다 : 식중독은 세균성이고 노로바이러스는 이름그대로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라 음식의 상한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겉보기에 전혀 이상이 없는 음식(익히지 않는 조개류) 등을 먹고 감염되기도 한다. 식중독이 주로 여름에 상한 음식을 먹고 발병하는 것과는 다르게 겨울에도 발병확률이 있다. 세균은 식품이 상하면서 배양하는데 바이러스의 특성상 원인을 찾기 어렵다.

2. 노로바이러스 예방

식약처가 권고한 예방법은 85도 이상의 열로 1분이상 가열하면 소멸한다. 즉 전자레인지에 1분 돌리면 죽는다는 것이다.

  •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RNA는 낮은 온도에서 더 잘 보존된다. 따라서 겨울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싱싱한 생굴을 먹고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는 경우 이러한 특징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18도 냉동고 온도보다 낮은 영하80에서도 생존한다. 때문에 차갑고 싱싱한 음식을 먹을 때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감염 후 재감염이 가능하다. 노로바이러스 면역기간은 6개월에서 2년 정도이고 종류가 150종이상으로 다양하며 바이러스 특성상 변이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 가급적이면 생으로 된 음식을 피하는 것이 예방법이다.
  • 패류는 완전히 익힌다
  • 끓는 물을 마신다
  • 야채는 꼼꼼히 씻어서 먹는것이 좋다. 수돗물에 2분 정도 담가뒀다가 흐르는 물에 씻는 것이 좋다
  • 알코올성 소독제가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비누나 세정제로 손을 꼼꼼이 씻어야 한다.

 

 

 

3. 노로바이러스 증상

감염이 되면 24~48시간 잠복기를 거친 후 구토, 멀미, 헛구역질, 설사 등의 증상이 48~72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갑자기 회복된다. 소아에서는 주로 구토 성인에서는 설사가 한하게 나타난다. 또한 두통, 오한, 근육통, 발열 등이 나타난다. 물처럼 묽은 설사가 하루에 수십 번까지도 발생하는데 소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형태의 감염을 아니기 때문에 점액성의 설사는 아니다. 그나마 설사는 그렇다 치고 구토를 하는 경우에는 하루종일 토를 하게 된다. 체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거나 노약자는 이 기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다. 증상은 5일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이 된다.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을 권장하지만 유유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4. 감염경로

  • 첫번째 감염경로는 오염된 식재료 및 식기를 사용했을 때 입으로 감염이 될 수 있다.
  • 두 번째는 감염된 환자의 대변이나 구토물 등에서 나온 바이러스로부터 경구감염된다. 즉 똥에서 감염된다. 
  • 굴섭취로 감염이 가장 심한데 먹게 되면 걸릴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5. 치료

  • 일본의 다케다제약이 백신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나 지금은 치료제가 없다. 다만 자연치유로 회복이 되는 것이 다행이고, 증상이 발생하면 지사제나 위장약을 복용하고, 수액으로 탈수를 막는 것이 좋다. 일부 연구결과에 따르면 탄닌이 효과가 있다고 하여 매실, 석류, 대추야자시럽 등이 감염을 무력화시킨다고 한다. 
  • 매실농축액을 물에 희석시켜 마셔보면 증상이 완화될 수도 있다.

 

 

 

 

반응형